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정보

전기기사 취득방법 응시자격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기사 응시자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기기사

전기기사는 전기를 합리적으로 사용하고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설비의 운전 및 조작, 유지, 보수에 관한 전문화된 기술인력을 양성하고자 제정된 자격제도입니다.

전기기사 직무

전기기계기구의 설계, 제작 관리 등과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기자재의 규격, 크기, 용량 등을 산정하기 위한 계산 및 자료의 활용 , 전기설비의 설계 도면 및 시방서 작성, 점검, 유지, 시험작동, 운용관리 등에 있어 전문적인 역할과 전기안전관리자로서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또한 공사현장에서는 시공, 감독하거나 제조공정의 관리 발전, 소전 및 변전시설의 유지관리 , 보안 관리 업무를 담당합니다.

 

 

전기기사 활용

전기가 사용되는 모든 전기공사 시공업체에 취업이 가능하며 일반업체나 공장의 전기부서로 취업이 가능합니다.

전기기사는 전기공학기술자로서 전기부품, 장비, 장치의 디자인 및 제조, 실험과 관련된 연구를 담당하는 생산업체의 연구실 및 개발실, 국공립 전기 관련 연구소 등으로 진출이 가능하고 전기직 공무원으로 진출이 가능합니다.

전기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전기안전관리자 대행자로 활동이 가능하고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자격이 주어집니다.

 

전기기사 응시자격

전기기사 응시자격은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전기 관련 학과를 졸업하여야 합니다.

비전공자라면 4년의 실무경력을 보유하거나 유사분야의 기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면 전기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전공 / 무경력자라면 학점은행제를 통해 106학점을 이수하면 해당 자격증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학점은행제 활용

106학점을 이수하기 위해 이용할 학점은행제는 고등학교 졸업자라면 누구나 이용이 가능한 평생교육제도로 일정 학점을 이수하여 학위를 취득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학점이수 방법을 활용하여 기간 단축이 가능합니다.

 

  1. 온라인 강의 - 난이도가 가장 쉬운 100% 온라인 수업 
  2. 자격증 - 보유하고 있는 자격증 또는 학점으로 인정 가능한 자격증 취득을 통한 학점 인정
  3. 독학사 - 독학사 시험에서 합격 과목 학점으로 인정
  4. 전적대 - 대학에서 이수한 학점 활용

 

최종학력에 따른 소요기간

최종학력에 따라 인정되는 학점이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 전기기사 응시자격을 갖추는 소요기간이 상이합니다.

고등학교 졸업자의 경우 1년 반에서 2년 정도 소요가 되며 전문대 졸업·중퇴자의 경우 보유하고 있는 학점에 따라 기간이 상이 하지만 4~8개월 내로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4년제 졸업자의 경우 106학점이 아닌 48학점만 이수하면 되므로 동일하게 4~8개월내로 전기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또한 앞서 말씀드린 다양한 학점이수 방법을 통해 진행하는 과정에 따라 기간 단축이 가능하므로 단기간에도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전기기사 응시자격을 갖추는 방법에 알아보았습니다.

1:1 멘토링과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전기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진행하는 과정에 대해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문의하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