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오늘은 축산기사 응시자격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축산기사
축산기사는 축산에 관한 유일한 기사제도로 육류 사용의 증가에 따라 가축을 합리적으로 사육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함으로써 품질 좋고 안전한 축산물을 생산·공급하고 축산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제정한 자격제도입니다.
|축산기사 직무
축산에 관한 기술 이론 지식을 가지고 가축의 생산·경영 관리 등의 기술업무를 수행합니다.
|축산기사 활용
① 창업
직접 농장을 경영할 수 있고 축산물 유통 회사, 유가공 회사, 사료회사 등 자영업에 종사할 수 있습니다.
② 자격부여
- 가축 방역사로 위촉할 수 있는 자격
- 축산물 가공처리법에 의한 검사관이 행하는 가축 및 그 식육의 검사에 대한 보조업무 등을 수행하는 검사보조원의 자격
- 도지사의 면허를 받아 수정사가 될 수 있는 자격
- 사료 관리법에 의한 사료 안전관리인의 자격
기술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졸업자 | 순수 경력자 |
· 동일 (유사)분야 기사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 대졸(졸업예정)자 · 3년제 전문대졸 + 실무경력 1년 · 2년제 전문대졸 +실무경력 2년 |
실무경력 4년 |
학점은행제 106학점 |
|축산기사 응시자격
축산기사 응시자격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비전공 졸업자이거나 고등학교 졸업 학력일 경우 다시 관련 전공으로 대학에 진학을 할 수도 없고 4년이라는 경력을 쌓기에는 시간 소모가 아닐 수 없습니다.
기술자격/관련학과 /순수 경력에 해당하지 않는 다면 학점은행제를 통해 106학점을 이수한다면 축산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학점은행제
축산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기 위해 이수할 106학점은 학점은행제로 진행합니다.
학점은행제는 국가평생교육법으로 학년제가 아닌 학점제로 모든 과정을 온라인으로 진행이 가능합니다.
다양한 학습 방법을 통해 학점이수가 가능하고 진행하는 과정에 따라 기간이 상이합니다.
온라인 강의 | 자격증 | 독학사 | 전적대 |
1주>1강의>2주출석 인정 1과목당 3학점 녹화된 강의 정해진 시간표 없음 |
자격증 보유·취득시 학점인정 | 1-4단계 시험 단계별 연1회씩 시험 단계별 4-5학점 |
전문대 보유 학점 활용 가능 4년제 중퇴·제적 학점 활용 가능 |
|축산기사 응시조건
축산기사 응시조건을 갖추기 위해 이수하는 학점은 개인의 최종 학력에 따라 상이합니다.
전문대 졸업자의 경우 보유한 학점 활용이 가능해 부족한 학점만 보충한다면 축산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고 보유한 학점에 따라 소요기간이 달라집니다.
4년제 졸업자의 경우 학점 활용이 불가능 하지만 타 전공 과정으로 진행 시 48학점을 이수하면 축산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축산기사 응시자격과 응시자격 갖추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축산기사 외 타 산업기사 / 기사 응시자격도 갖출 수 있으니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문의하시면 해결해 드리겠습니다.
'자격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졸 토목기사 응시자격 (1) | 2022.11.19 |
---|---|
전자기사 응시자격 (0) | 2022.11.16 |
자동차정비기사 응시자격 알아보기 (0) | 2022.11.11 |
어린이집 보조교사 준비방법 (0) | 2022.11.10 |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응시자격 (0) | 2022.11.10 |